sudo dhclient가 잘 작동하지 않나요?기본적인 명령어 또는 netplan이 작동하지 않나요?아래와 같이 시도해보세요.- 우분투 재설치 명령어:데스크탑:[code]apt-get install --reinstall ubuntu-desktop[/code]서버:[code]apt-get install --reinstall ubuntu-server[/code]
해결법(여러가지):- 1[code]apt auto remove -y[/code]- 2[code]apt-get update && apt-get upgrade -y[/code]- 3[code]apt-get update --fix-missing[/code]- 4데스크탑:[code]apt-get install --reinstall ubuntu-desktop[/code]서버:[code]apt-get install --reinstall ubuntu-server[/code]
dhcp 서버에서 ip를 할당받기[code]sudo dhcp[/code]
CentOS와 Ubuntu는 두 가지 주요 리눅스 배포판으로,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을 살펴보겠습니다.CentOS: - 특징: CentOS는 Red Hat Enterprise Linux (RHEL)의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하는 무료 및 오픈 소스 리눅스 배포판입니다. 따라서 RHEL과 동일한 안정성과 보안을 제공합니다. - 장점: - 안정성: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운영 가능합니다. - 보안: RHEL과 동일한 보안 업데이트 및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긴 수명: 장기 지원 버전인 CentOS Stream과 Cen…
[code]sudo ln -s /원본 파일 또는 디렉토리 /옮길 디렉토리 위치 [/code]
우분투 프로(UBUNTU PRO)는 우분투 lts (UBUNTU LTS)보다 지원기간이 5년 늘어난, 보안 지원 10년을 지원합니다. 또한 우분투lts에서 지원하지 않는 NIST 인증 FIPS 암호화 모듈을 지원하며,CIS 및 DISA-STIG를 사용한 USG 강화프로필 또한 지원합니다.*우분투프로는 최대 5대, 우분투 커뮤니티공식 회원이면 50대까지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지금 회원가입하고 우분투 프로를 설치하세요.https://login.ubuntu.com/mulxU6g5R5eJsVkn/+decide
USB 3.0 포트를 통해 Raspberry Pi에 연결된 외장하드를 사용하면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모든 8GB Raspberry Pi 4s 및 최신 4GB 모델은 삽입된 SD 카드가 없는 한 USB 드라이브에서 자동으로 부팅되도록 미리 구성되어 있습니다.2021년 이전에 출시된 이전 4GB 모델의 경우 이 자습서의 담화 버전에 연결된몇 가지 추가 구성이 필요합니다.Pi가 기본적으로 USB 부팅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전원 공급 장치 포트와 최신 모델에만 있는 가장 가까운 마이크로 HDMI 포트 사이의 …
https://ubuntu.com/tutorials/how-to-install-ubuntu-desktop-on-raspberry-pi-4#2-prepare-the-sd-card라즈베리파이에서 외장하드(usb)로 부팅하는 방법:https://dsclub.kr/bbs/board.php?bo_table=code&wr_id=333목차:부팅 가능한 Ubuntu Desktop microSD 카드를 만드는 방법일상적인 사용을 위해 Ubuntu Desktop을 설정하는 방법준비물:microSD 카드(최소 9GB, 16GB 권장)microS…
우분투 22.04.2 LTS데스크탑 PC 및 랩탑용 Ubuntu의최신LTS 버전.LTS는 장기 지원을 의미합니다. 즉, 2027년 4월까지 보장되는 5년간의 무료 보안 및 유지 관리 업데이트를 의미합니다.Ubuntu 22.04 LTS 릴리스 정보권장 시스템 요구 사항:2GHz 듀얼 코어 프로세서 이상4GB 시스템 메모리25GB의 여유 하드 드라이브 공간인터넷 사용이 도움이 됨설치 프로그램 미디어용 DVD 드라이브 또는 USB 포트22.04.2 다운로드토렌트, 네트워크 설치 프로그램, 로컬 미러 목록 및 이전 릴리스를 포함한 다른 버…
서버에 파일을 올리는데413 Request Entity Too Large nginx/1.18.0 (Ubuntu)가 뜬다, 왜 그런 것일까?그건 nginx(웹서버)의 파일 업로드 용량 제한이 걸려있기 때문이다.보통 설정하지 않으면 기본값으로 최대 1M를 업로드할 수 있고, 이후 부터는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이렇게 업로드 용량을 제한한 까닭은 서버에 악의적으로 고용량의 파일을 업로드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고 한다.이제 해결방법을 알아보겠다.nginx 설정파일 수정하기:[code]sudo vi /etc/nginx/nginx.con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