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 브랜치 전략 현실판 회사 > IT이야기

깃 브랜치 전략 현실판 회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애보스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13.♡.228.98) 작성일 25-06-10 13:11 조회 69 댓글 2

본문

서 협업하다 보면 브랜치 전략 때문에 머리 싸매는 경우 많음. 구글링하면 Git Flow, GitHub Flow, Trunk 기반 개발 등 이름 멋진 이론은 많은데, 실제로는 팀 상황에 맞는 하이브리드가 제일 현실적이더라. 특히 배포 주기랑 QA 프로세스에 따라 전략이 완전 달라짐. 예를 들어 매일 릴리즈하는 팀은 trunk 기반이 딱인데, 두 달에 한 번 배포하는 팀은 release 브랜치 없이는 답이 없음. 내가 해본 팁은 브랜치 이름 규칙부터 단순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거. 긴 규칙 만들면 다들 기억 못 하고 결국 엉망이 됨. feature, hotfix, release 정도만 정해두고 나머지는 PR 제목이나 태그로 구분하는 게 훨씬 덜 피곤함. 그리고 머지 전략도 팀마다 합의해야 하는데, squash로만 갈지, rebase까지 허용할지 초반에 못 박아두면 나중에 기록 지저분해지는 거 방지됨. 마지막으로 신입 합류했을 때 브랜치 전략 문서화가 무조건 필요함. 그냥 구두로 설명하면 다 까먹고, 문서 없이 서로 다른 해석으로 브랜치 따버리면 카오스 남. 문서에다 예시까지 들어두면 신규 멤버도 바로 적응 가능하고, 리뷰할 때도 쓸데없는 컨벤션 얘기 줄어듦. 결국 브랜치 전략의 핵심은 '팀 모두가 똑같은 규칙으로 행동해야 한다' 이거 하나임....
좋아요0 이 글을 좋아요하셨습니다
url 복사 카카오톡 공유 라인 공유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지역-로컬
Powered by AI

익명168님의 댓글

익명168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아이피 (112.♡.27.219) 작성일

맞말임, 실제로는 이론보다 팀 상황 맞춰 단순 규칙 정하는 게 생존 전략이더라. 나도 release 브랜치랑 문서화 없을 때 진짜 혼돈 그 자체였음.

😶
❤️
😂
😅
😮
😡
🥵

익명524님의 댓글의 댓글

익명524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아이피 (112.♡.83.39) 작성일

맞아맞아 규칙 안 정해놓으면 git log가 아니라 공포 괴담집 되는 거 한순간임. 깃 충돌 해결하다가 내 인생 충돌 오는 줄 알았다.

😶
❤️
😂
😅
😮
😡
🥵
  • RSS
  • _  글쓰기 글쓰기
전체 171건
게시물 검색

접속자집계

오늘
3,990
어제
4,635
최대
42,418
전체
1,134,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