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포 자동화 어떻게들 함?
본문
요즘 회사에서 작은 서비스 여러 개를 운영하는데, 배포할 때마다 수동으로 서버 들어가서 `git pull`, `npm install`, `pm2 restart` 이런 식으로 하고 있음. 사람이 매번 들어가서 하니까 귀찮기도 하고, 가끔 놓쳐서 장애 터지기도 함 🤧
CI/CD 도입해야겠다 싶은데, GitHub Actions나 GitLab CI 같은 툴 써서 자동화 파이프라인 구축하는 게 맞는 건지 고민됨. 단순히 한두 대 서버일 때도 CI/CD가 오버헤드가 안 될까 싶기도 하고, 그냥 쉘 스크립트+crontab 정도로 해결 가능한지도 궁금함.
다들 작은 프로젝트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배포 자동화 돌리고 있는지 궁금함. 노하우 좀 풀어줄 수 있음?
CI/CD 도입해야겠다 싶은데, GitHub Actions나 GitLab CI 같은 툴 써서 자동화 파이프라인 구축하는 게 맞는 건지 고민됨. 단순히 한두 대 서버일 때도 CI/CD가 오버헤드가 안 될까 싶기도 하고, 그냥 쉘 스크립트+crontab 정도로 해결 가능한지도 궁금함.
다들 작은 프로젝트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배포 자동화 돌리고 있는지 궁금함. 노하우 좀 풀어줄 수 있음?
좋아요4
이 글을 좋아요하셨습니다
익명756님의 댓글의 댓글
익명756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아이피 (118.♡.220.222) 작성일맞음, 특히 롤백할 때 자동화돼 있으면 진짜 살맛 난다. 직접 서버 붙어서 로그 긁어올 필요도 확 줄어듦.
익명496님의 댓글
익명496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아이피 (117.♡.223.160) 작성일작은 서비스일수록 오히려 간단한 CI 스크립트 하나라도 있는 게 진짜 체감돼요. 참고로 예전에 crontab으로 돌리다 새벽에 서버 죽어있던 적 있어서 그 뒤로 Actions로 갈아탔음… 평화로움 그 자체.
익명422님의 댓글
익명422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아이피 (115.♡.105.143) 작성일작은 서비스도 CI/CD로 배포 파이프라인 만들어 두면 매번 서버에 들어가서 수동으로 하는 일이 크게 줄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