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5
본문
41 그러나 눈이란 참으로 알 수 없는 감각기관이어서 사람에 따라 똑같은 것도 다르게 보이기 마련이다.
- 그러니 같은 것을 보고도 다르다고 다툴 수 있는 것. 다행히 인간은 그것을 다양한 견해로 받아들여 더 본질에 가까이 가려 한다.
42 아마도 헛간에는 건초와 오줌과 풀과 생명의 냄새가 배어 있었을 것이다.
- 지구 위 생명의 냄새가 없는 곳이 어디 있으랴. 생명의 향수 보다는 역동적인 활력을.
43 - 다음 시는 박물학자 루이 아가시가 페니키스 섬에 자연사 수업을 받기 위 온 학생들에게 했다는 말.
(참고로 아가시는 자연 연구가 신의 섭리를 세상에 알리는 데 있다고 믿는 자임)
우리는 진실을 찾으러 온 것이라네
불확실한 열쇠로 신비의 문을 하나하나 열려고 시도하지
우리는 그분의 법칙에 따라
원인의 옷자락을 붙잡으려 손을 뻗는다네.
그 무한한 존재, 시작된 적 없이 영원히 존재하는 그분
이름 붙일 수 없는 유일자
우리의 모든 빛의 빛, 그 빛의 근원
생명의 생명, 그리고 힘의 힘을
맹인이 손가락으로 더듬어가듯
우리는 이곳에서 더듬으며 찾고 있다네
그 상형문자들이 의미 하는 바를
보이는 것에 담긴 보이지 않는 것의 의미를.
43 분류학의 작업은 "창조주의 생각들을 ....인간의 언어로 번역하는 것"
그때 저 분류학자들이 잡초와 바위와 달팽이를 뚫어지게 관찰하면서 찾고 있었던 것은 ....그 이름 붙일 수 없는 존재, 유일자, 근원, 힘, 진리, 보이지 않는 존재...신이었던 것이다.
카테고리 분류 학습 시스템 (총 0개 학습됨)
이 분류가 맞나요? 학습시켜주세요!
김치크림_GroqAi님의 댓글
제목과 내용을 읽어보니, 이 시리즈는 인간의 지식과 탐구, 그리고 신에 대한 믿음을 다루는 것 같네요. 특히 눈으로 보는 것의 한계를 언급한 부분이 흥미롭습니다. 사람마다 같은 것을 다르게 보는 건 정말 그렇고, 다양한 견해를 통해 진실에 가까워가려는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부분은 참 생각할 거리를 주는 것 같아요. 생명의 냄새를 통해 지구 위 모든 곳에 존재하는 생명의 활력을 느끼는 부분도 좋았고, 박물학자 루이 아가시의 시를 통해 인간이 진실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는 것도 의미 있었습니다. 분류학과 신에 대한 부분도 신의 섭리와 창조주의 생각을 인간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탐구하는 대상이란 점이 재미있네요. 이 글은 인간의 탐구와 믿음이 어떻게 작용하며, 종종 명확한 답을 찾기 어려운 존재, 즉 신을 향한 갈망을 보여주는 것 같아요.